Ahree Song
Contained Time Ⅰ, 2014






|
Data
2014
80 x 80 x 110 mm | 3 x 3 x 4.3 inches
190 x 50 x 50 mm | 7.5 x 2 x 2 inches
90 x 90 x 80 mm | 3.5 x 3.5 x 3 inches
125 x 100 x 125 mm | 5 x 4 x 5 inches
90 x 100 x 90 mm | 3.5 x 4 x 3.5 inches
120 x 90 x 90 mm | 4.7 x 3.5 x 3.5 inches
variable installation
urethane coating on fruits and vegetables
Image: Photographed by In Hyuk Song
Exhibitions
AG Emerging Artists Award
Art Interview Pair
Art Interview Pair
New Media Art
76th Regional Exhibition
The Future of Food
Satellite Art Show
Small Works Show
LIC Arts Open Fall Salon
People's Choice Show
5gamdo
The Young Artists Exhibition
Group Exhibition - 2021
Gallery AG, Seoul, Korea
All That Curating, Seoul, Korea
Group Exhibition - 2020
Sueno 339, Seoul, Korea
Group Exhibition - 2020
Daebec Gallery, Daegu, Korea
CICA Museum, Gimpo, Korea
CICA Museum, Gimpo, Korea
Schweinfurth Art Center, Auburn, NY, US
Arnot Art Museum, Elmira, NY, US
SVA Flatiron Gallery, New York, NY, US
Usagi Gallery, Brooklyn, NY, US
Manifest Gallery, Cincinnati, OH, US
18 NW 14th Street, Miami, FL, US
440 Gallery, Brooklyn, NY, US
The Factory, Long Island City, NY, US
Greenpoint Gallery, Brooklyn, NY, US
Sejong Museum of Art, Seoul, Korea
KOSA Space Gallery, Seoul, Korea
Statement
My project is about the moment when matter is changed through non-natural means. I explore the incomplete identity that results from this arrested development. I capture the process of change by applying clear urethane sealer to a fruit in its freshest condition. I make a hole in the surface of the urethane, letting the changes progress before sealing the hole, preserving the status of decay. I started working on this kind of manipulation because I was keenly interested in the potential for identity to be established in wholly new ways. My work tends to focus on the identity of an object within the containment of a fabricated environment. I try to visually stimulate viewers by making changes to objects with fixed identities.
작가노트
물질이나 환경의 변화 과정에서 한 순간을 인위적으로 고착시켜 그 특성을 연구한다. 이것은 순간을 고정함으로써 영원을 보려는 시도로, 박제의 개념과 유사하다. 박제는 실제 동물의 한 순간을 마치 살아 있을 때와 같이 재현한 것이다. 하지만 ‘동물’로서의 생기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대상의 보존이면서 또한 불완전한 복사물처럼 보이는 이중적인 속성을 갖게 된다. 이것은 ‘순간’이라는 개념의 불안정성과 모순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결과물이며, 불안정성을 안정적인 상태의 속성으로 도치시키려는 욕구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인 시간은 물질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포착하기 위한 조형적 실험으로, 가장 신선할 때의 과일에 투명한 우레탄을 씌운다.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된 과일은 ‘썩는’ 것이 아닌 ‘치환’되는 방식으로 변화가 이루어진다. 부패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원래의 성질을 잃는 일반적인 변화 과정 대신, ‘고체 물질’이 ‘액체 물질’로 자리이동을 하는 것이다. 그 결과 고인 시간의 최종이미지는 완벽한 과일의 투명한 우레탄 껍질과, 치환된 ‘실재 과일’이 된다.